지난 글에서 PIR을 다루면서, 가구소득 분위가 중요한 정보였기에 추가적으로 서치를 하여 연결하여 봅니다. 


KB부동산은 PIR에서 가구 소득의 기준을 아래와 같이 표기하고 있으며, 그 출처를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 자료로 밝히고 있습니다.


PIR 가구 소득 기준 (KB부동산)

 - 전국 지표 : 전국(2인이상), 전가구 기준 

 - 서울 지표 : 도시지역(2인이상), 전가구 기준


출처에 표기된대로,  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서치하였고, 2016년 1/4분기 가계동향 발표 자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

전국 기준 가구 소득

월 평균 소득 4,555.2(천원/월)로 년 평균 환산시 54,662(천원/년)이 됩니다.('16.1분기 기준)



도시 기준 가구 소득

통계청 발표자료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, 국가통계포털에서 확인 가능하였습니다.

평균은 4,590.8(천원/월)이며, 년소득 환산시 55,090(천원/년) 입니다.



각 분위별 년소득 환산값은 다음과 같네요.

  • 1분위 :  17,236 (천원/년)
  • 2분위 :  34,675 
  • 3분위 :  48,902
  • 4분위 :  65,194 
  • 5분위 : 109,385

PIR 9.7 의미 다시 확인
3분위 소득·3분위 서울 주택가격 기준 PIR값이 9.7 이었으므로, 서울 3분위 주택가격은 약 4.7억이라고 추정이 되네요. 
같은 로직으로 5분위에 주택가격에 대한 3분위 가구소득의 PIR값은 22.2이므로, 서울 5분위 주택가격은 약 10.9억으로 나오네요. 


몇 년이나 저축해야 하나?
그런데 문제는 가구소득은 총액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돈으로 밥도 먹고 해야 하므로, 주택을 사는 데 쓸 수 있는 돈의 총액이 아닙니다. 그래서 '남는 돈'의 컨셉을 한 번 적용해보았습니다.

소득에서 지출액을 제외한 지표가 '흑자액'인데, 여기서 비극이 시작되는 것 같네요.
1분위 흑자액은 -179.7(천원/월)이므로 년 환산시 2,156(천원/년) 적자이고,
3분위는 년간 흑자액이 9,037(천원/년) 이고, 4분위 흑자액은 15,325(천원/년), 5분위 흑자액은 36,114(천원/년) 이네요.


서울 3분위 주택가격 (4.7억)을 3분위 가구의 흑자액(9,037천원)으로 나누어 보면 52.5x가 나옵니다.
흑자액으로 집을 사려면... 52.5년이 걸린다는 의미가 되는 것인데, 제가 제대로 계산한 것이 맞는지 되돌아보게 될 정도로... 어마어마한 숫자가 나와버렸네요.

어쩌면 PIR 9.7이 다른 나라 대비 높은 것은 아니라고 하는데, 대체 우리는 왜 비싸게만 느껴지는 지에 대한 원인이 이 지점에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. 


Reference

국가통계포털 (www.kosis.kr)

 - 주제별 통계 > 물가·가계 > 가계 > 가계소득지출 > 가계동향조사(신분류) 참조


Source 

<2016년 1/4분기 가계동향>, 통계청



AND